전체 글 25

지금 교회에서 말하는 사람은 누구인가요? 교회 공동체의 건강한 세대 간 대화를 위한 제안-기윤실 <좋은나무> 연재글

2023년 11월 13일 cemk.org 기독교윤리실천운동 웹진 에 게재된 글 원본출처: https://cemk.org/33194/ 교회 밖에서 끊임없이 마주하는 평가가 아닌, ‘다른 대화’, ‘다른 위로’를 기대하며 교회를 찾아온 청년들에게는 이런 상황들이 교회조차 더 이상 안식처가 아니라 심문의 장이 되었다는 느낌을 받게 한다. 그들의 삶과 선택에 대한 무심한 평가는 교회 공동체에 대한 기대와 애정을 모두 잃게 만든다. (본문 중) 지난 9월 말부터 10월 초까지, 한국인들은 추석과 개천절이 이어진 ‘황금연휴’를 보냈다. 그런데 오랜만에 만난 친인척, 그간 여유가 없어 만나지 못했던 반가운 이들과의 대화 역시 ‘황금빛’이었을까? 조사 결과에 따르면, 실제로 명절 직후에 이혼 건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2023년 인문사회과학 연구소 논문발표 -AI 시대의 연구윤리와 학습윤리

2023 가을철 세명대 인문사회과학연구소 공동 학술대회 인공지능이 가져오는 웹툰, 웹소설 창작 생태계의 변화 인공지능은 윤동주가 될수 있나? AI 윤동주는 간도 이민3세대 윤동주의 ‘부끄러움의 미학’을 언어적으로 구현할 수 있나? 인공지능으로 감성분석을 실시하면 파이썬 감성분석 모델에서 찾아낼 수 없는 저자의 선악에 대한 가치판단과 딜레마까지 포착할 수 있나? 효율과 탈진실 사이에서 갈등하는 연구자는 ‘공정하고 윤리적인’ 연구를 할 수 있는가? 등등 숨가쁘게 재미난 이야기, 흥미로운 논점이 떠오르는 현장 주중에 수업에 학교 행정에 너무 정신이 없고 소진되는 기분이었는데 공부 빡세게 하니까 너무 재밌다!

2023년 한국여성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

한국여성학회 2023년 추계학술대회에서 발표 우리 대학을 포함한 충북지역 사립대 여대생 8명을 지난 여름부터 인터뷰했던 데이터를 정리해서 논문화 전에 동료연구자들과 고민을 나누고 발전시킬 수 있는 귀한 시간을 가졌다. 에 열광하던 한국사회 어느 곳에는 지방에 ‘정주해줄 것으로 기대가 안되는 사실은 지방인재, 지방청년으로 ‘호명되지 못하는’ 여학생들이 있다. 이들은 ’그저 머무르다가 떠나갈 소비만 하는 주체‘로 비가시화되고- 대학서열화, 수도권집중화, 성차별이 교차되는 어느 지점에서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들)로 표류하고 있다. 나는 지방사립대 여대생들이 경험하는 현실을, 지역의 소외와 배제를 이제야 제대로 보게된 ‘무지했던 지방사립대 교수의 반성과 참회’라고 이 연구를 감히 이야기하고 싶다. 여성노동에 초..

안드라고지, 그 현장의 기록

오늘의 감동을 잊지않기 위해서 적어두는 글 1949년생의 학생과 1985년생의 교수가 만나서, 세월을 뛰어넘어서 가르침과 배움을 나눈 잊지못할 경험 지역대학이다보니, 생각지도 못한 다양한 배경의 학생들을 만날 기회가 있다. 지난주에, 갑자기 "교수님, 만학도 ***입니다. 그동안 확진이 되어서 공부를 못했어요. 평소 교수님 수업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한번 찾아뵙고 의논드리고 싶습니다"라고 문자가 왔다. 비대면으로 진행되는 수업이라, 한번도 얼굴을 보진 못했지만 전자출결 게시판과 zoom 화면을 통해서 막연히 노년기 여성으로 알고 있던 분이었다. 만학도, 라는 고전적인 표현을 쓰길래 다시한번 확인을 해보니 학생증 사진이 무려 곱게 한복 차려 입으신 사진(아마도 결혼식 때 혼주 세팅으로 찍으신 듯한!)이었다..

"소셜리빙랩이란?" @제1회 소셜리빙랩 포럼 in 원주

2021년 10월 22일 금요일 오후2시 상지대학교 대학원관 소셜캠퍼스 온 강원 원주는 그동안 강원지역 뿐 아니라 영동지방의 사회적경제를 견인해 왔다. 지난 2021년 1월에 리빙랩과 젠더포럼을 원주에서 개최하면서, 기존의 원주지역의 사회적경제 주체들이 리빙랩이라는 방법론, 접근방식을 통해 젠더, 소수자, 다양성을 품으려는 시도를 시작했다. 이후 2021년 봄부터 꾸준히 '리빙랩하는 원주사람들'이라는 자발적인 학습 및 실천공동체를 조직하여 '리빙랩의 확장성과 역동성', '돌봄과 리빙랩'등의 주제를 가지고 브라운백세미나, 포럼 등을 개최해 왔다. 본 행사는 이러한 학습과 논의를 확장, 발전시키는 장으로 기획하였다. 2021년 1월 리빙랩과 젠더 in 원주 행사 관련기사: https://www.eroun.n..

[연구자료]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휠체어 이동정보 프로젝트 효과성 연구

지난 2020년 7-11월 동안 SK행복나눔재단 출자로 추진한 파일럿 프로젝트 효과성 검증 연구보고서가 나왔다. 프로젝트 및 연구 발주처: SK행복나눔재단 파일럿 프로젝트 수행 주체: 토도웍스, 협동조합 무의 효과성 검증연구 기관: 다양성임팩트연구소 연구책임자: 신하영 다양성임팩트연구소 대표,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연구교수 SK 행복나눔재단 홈페이지 자료실

연구활동

KCI accredited -대학혁신의 확산과 채택: 구성원의 인식을 중심으로(2022). 교육행정학연구, 40(4). 177-205. -유치원3법 이후 유치원 운영 현장 실태와 과제(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30(3). 191-219. -경북지역 청년의 지역 내 고용시장 진입 요인 분석(2022). 대구경북연구, 21(2). 61-82. -고교학점제 연구 경향 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2022). 문화와융합, 44(3). 149-168. -교육행정과 일반행정 연계 현황과 유형: 초등돌봄 서비스를 중심으로(2021). 교육행정학연구, 39(3). 269-294. -대학입학유형에 따른 진로결정성 정도가 직무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활적응을 매개로(2021). 아시아교육연구, 22(2..

소개_profile 2021.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