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성 5

[연구자료]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휠체어 이동정보 프로젝트 효과성 연구

지난 2020년 7-11월 동안 SK행복나눔재단 출자로 추진한 파일럿 프로젝트 효과성 검증 연구보고서가 나왔다. 프로젝트 및 연구 발주처: SK행복나눔재단 파일럿 프로젝트 수행 주체: 토도웍스, 협동조합 무의 효과성 검증연구 기관: 다양성임팩트연구소 연구책임자: 신하영 다양성임팩트연구소 대표,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연구교수 SK 행복나눔재단 홈페이지 자료실

연구활동

KCI accredited -대학혁신의 확산과 채택: 구성원의 인식을 중심으로(2022). 교육행정학연구, 40(4). 177-205. -유치원3법 이후 유치원 운영 현장 실태와 과제(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30(3). 191-219. -경북지역 청년의 지역 내 고용시장 진입 요인 분석(2022). 대구경북연구, 21(2). 61-82. -고교학점제 연구 경향 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2022). 문화와융합, 44(3). 149-168. -교육행정과 일반행정 연계 현황과 유형: 초등돌봄 서비스를 중심으로(2021). 교육행정학연구, 39(3). 269-294. -대학입학유형에 따른 진로결정성 정도가 직무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활적응을 매개로(2021). 아시아교육연구, 22(2..

소개_profile 2021.09.02

기윤실 좋은나무 기고 <우리들의 일그러진 '공정'>

https://cemk.org/22552/ 우리들의 일그러진 ‘공정’(신하영) 모두가 공평하게 시험에 응시하고 시험 결과에 따라서 줄을 세워서 그 순위를 받아들이는 것이 과연 청년들이 원하는 공정일까. 이미 청년들은 그러한 줄 세우기 식의 공정, “출발점이 어떻든 cemk.org 모두가 공평하게 시험에 응시하고 시험 결과에 따라서 줄을 세워서 그 순위를 받아들이는 것이 과연 청년들이 원하는 공정일까. 이미 청년들은 그러한 줄 세우기 식의 공정, “출발점이 어떻든 결과를 받아들여야 하는 게임”이 얼마나 불합리하고 절망적인지를 체감하고 있다. (본문 중) 신하영(세명대 교양대학 교수, 기윤실 청년위원) 연일 공정 이슈가 뜨겁다. 이례적으로 젊은 나이에 최대 야당의 지도자가 된 정치인은 불공정에 실망한 대중을..

이투데이 8월 4일 인터뷰 내용

https://www.etoday.co.kr/news/view/2050581 [다시 그리는 공정지도] 여성 취업 특혜 많다고? 일부 기업 채용 때 '남성 선호' 뚜렷 자산 2조 이상 기업 여직원24%, 공기업 여성 정규직 33% 불과"여 할당제 불공정" 주장 있지만 단편적인 성별 대결 서로에 상처안산 선수 헤어스타일 www.etoday.co.kr 전문가들은 해결책으로 능력대로 줄을 세워 뽑는 것이 능사가 아니라고 지적한다. 신하영 세명대학교 교수는 “구조적인 문제를 인정하지 않고 무조건 실력으로 해야 한다는 풍조가 계속되면 장애인, 탈북민 등 소수자 정책이 하나하나 제동 걸리기 시작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신 교수는 “그렇기 때문에 어퍼머티브 액션(소수자 우대 정책)이 있을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했다...

활동_activity 2021.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