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혁신 5

"소셜리빙랩이란?" @제1회 소셜리빙랩 포럼 in 원주

2021년 10월 22일 금요일 오후2시 상지대학교 대학원관 소셜캠퍼스 온 강원 원주는 그동안 강원지역 뿐 아니라 영동지방의 사회적경제를 견인해 왔다. 지난 2021년 1월에 리빙랩과 젠더포럼을 원주에서 개최하면서, 기존의 원주지역의 사회적경제 주체들이 리빙랩이라는 방법론, 접근방식을 통해 젠더, 소수자, 다양성을 품으려는 시도를 시작했다. 이후 2021년 봄부터 꾸준히 '리빙랩하는 원주사람들'이라는 자발적인 학습 및 실천공동체를 조직하여 '리빙랩의 확장성과 역동성', '돌봄과 리빙랩'등의 주제를 가지고 브라운백세미나, 포럼 등을 개최해 왔다. 본 행사는 이러한 학습과 논의를 확장, 발전시키는 장으로 기획하였다. 2021년 1월 리빙랩과 젠더 in 원주 행사 관련기사: https://www.eroun.n..

[연구자료]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휠체어 이동정보 프로젝트 효과성 연구

지난 2020년 7-11월 동안 SK행복나눔재단 출자로 추진한 파일럿 프로젝트 효과성 검증 연구보고서가 나왔다. 프로젝트 및 연구 발주처: SK행복나눔재단 파일럿 프로젝트 수행 주체: 토도웍스, 협동조합 무의 효과성 검증연구 기관: 다양성임팩트연구소 연구책임자: 신하영 다양성임팩트연구소 대표,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연구교수 SK 행복나눔재단 홈페이지 자료실

이로운넷 6월2일 기고문 <지역 리빙랩 주도하는 '여성'>

사회적경제 미디어 에 리빙랩 분야의 여성 활약에 대한 글을 기고했습니다. 리빙랩을 통해서 만난 멋진 '언니들'(멋있으면 다 언니ㅎㅎ)을 기록하고 싶었습니다. 여성의 고유한 특성이 리빙랩과 친화적이다..라는 본질주의적인 이야기를 하고싶다기 보다는, 지금 그 판에 있는 언니들, 현장에서 변화를 만들어가는 여성들의 활동에 주목하고 싶었습니다. 기사 전문

[인터뷰]휠체어 사용자 이동정보 접근성 향상 프로젝트

2020년 9월-11월동안 SK행복나눔재단의 의 사전조사 자문위원 참여, 임팩트 리포트 집필을 맡았습니다. 연구 마무리 시점에, SK행복나눔재단에서 연구 주요 결과와 의의를 소개하는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Q. 휠체어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는 무엇일까요? 무엇보다 정보의 양이 늘어야 해요. 예를 들어, 광화문 일대 음식점 수는 8,700개가 넘지만, 배리어 프리 지도에 소개된 음식점 수는 고작 10곳에 불과한데요. 1,000개의 장소 중에 1~2개를 상세히 소개하는 것보다 30~40%에 불과한 정보라도 1,000개 중 700개의 장소에 대해 접근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휠체어 사용자 역시 자신의 취향을 고려해 선택할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말이죠. Q. ‘휠체어 사용자 이동정보 접근성 향상’..

디지털사회혁신과 사회적기업 간 역동적 상호작용(2019)

제목 title 디지털사회혁신과 사회적기업 간 역동적 상호작용 How Social Enterprise Drives the Digital Social Innovation in Korea? 게재학술지 journal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AJMAHS, KCI* accredited journal *Korea Citation Index 간행정보 article information 2019, vol.9, no.11, 통권 61호 pp. 1107-1120 (14 pages) 저자 Author 신하영 /Shin,Ha-Young (단독) , sole author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초록 / 요약 Abstract 본 논문은 디지털사회혁신과 사회적기업 간의 역동적 영향관계를 탐구하되, 구체적으로는 한국의 사회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