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title
20대 여성 수용자의 뉴스 신뢰도에 대한 탐색적 연구: 1998년, 2008년, 2019년 종단 분석을 중심으로
Does Time Changes the News Reliability of Young Female Audiences? with longitudinal analysis in 1998, 2008, and 2019
게재학술지 journal
2020년 한국언론학회 가을철 정기학술대회 <포스트 코로나19 시대 연결의 힘: 언론-언론학-시민사회의 역할> 자료집
저자 Author
김민정 Minjeong Kim, 1st author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HUFS, Dept. of Media Communication
신하영 Hayoung Shin, Corresponding author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욱연구소 Sookmyung Women's University, General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초록 / 요약 Abstract
본 연구는 20대 여성 수용자의 뉴스 신뢰도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먼저, 1998년, 2008년, 2019년 세 조사 시점에 수집된 자료의 종단 분석을 통해, 20대 여성 수용자의 언론전반에 대한 신뢰도와 매체별 뉴스 신뢰도가 타 연령대 여성 및 20대 남성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2019년도 조사 자료를 토대로, 20대 여성 수용자의 언론전반 신뢰도를 결정하는 요인들을 탐구하였다. 연구결과, 성별에 따른 언론전반 신뢰도 및 매체별 뉴스 신뢰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경우는 2008년도 조사에서 인터넷 뉴스 신뢰도에서 나타난 20대 남녀 간의 평균차이가 유일했다. 반면, 여성집단 내 연령에 따른 차이는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8년도 조사에서는 연령이 높은 집단에서언론전반에 대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으나, 향후 조사에서는 1998년도 조사에서 20대였던 여성 집단이 보였던 타 연령대 여성집단과의 신뢰도 차이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매체 다변화 현상에 따라 매체별 신뢰도를 언론전반 신뢰도와 동일하게 보기는 어려웠고, 특히 2019년도 조사결과는 9가지 매체별 뉴스 신뢰도가 다양한 양태로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줬다. 한편, 2019년도 조사에서 20대 여성의 언론전반에 대한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로는, 텔레비전 뉴스에 대한 신뢰도(정적 영향), 종이신문에 대한 신뢰도(부적 영향), 정치적 성향(보수적일수록 언론전반에 대한 신뢰도 높음), 언론전반에 대한 만족도(정적 영향), 그리고 언론인에 대한 신뢰(정적 영향)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회발표 동영상 (해당 발표 2:45:36 부터/ 토론은 3:02:56 부터)
'연구_research > 젠더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한국여성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 (0) | 2023.11.16 |
---|---|
뉴시스 2021년 3월4일 인터뷰 내용 (0) | 2021.03.09 |
이공계 여성연구자 경력단절 이슈 인터뷰(한국대학신문, 2017.11.27.) (0) | 2020.11.21 |
바이오해킹, 생명윤리, 그리고 젠더 - Netflix 다큐 <부자연의 선택>을 보고 (0) | 2020.11.11 |
젠더교육연구소IGE 총회참석 (0) | 2020.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