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5

이투데이 8월 4일 인터뷰 내용

https://www.etoday.co.kr/news/view/2050581 [다시 그리는 공정지도] 여성 취업 특혜 많다고? 일부 기업 채용 때 '남성 선호' 뚜렷 자산 2조 이상 기업 여직원24%, 공기업 여성 정규직 33% 불과"여 할당제 불공정" 주장 있지만 단편적인 성별 대결 서로에 상처안산 선수 헤어스타일 www.etoday.co.kr 전문가들은 해결책으로 능력대로 줄을 세워 뽑는 것이 능사가 아니라고 지적한다. 신하영 세명대학교 교수는 “구조적인 문제를 인정하지 않고 무조건 실력으로 해야 한다는 풍조가 계속되면 장애인, 탈북민 등 소수자 정책이 하나하나 제동 걸리기 시작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신 교수는 “그렇기 때문에 어퍼머티브 액션(소수자 우대 정책)이 있을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했다...

활동_activity 2021.09.01

이로운넷 6월2일 기고문 <지역 리빙랩 주도하는 '여성'>

사회적경제 미디어 에 리빙랩 분야의 여성 활약에 대한 글을 기고했습니다. 리빙랩을 통해서 만난 멋진 '언니들'(멋있으면 다 언니ㅎㅎ)을 기록하고 싶었습니다. 여성의 고유한 특성이 리빙랩과 친화적이다..라는 본질주의적인 이야기를 하고싶다기 보다는, 지금 그 판에 있는 언니들, 현장에서 변화를 만들어가는 여성들의 활동에 주목하고 싶었습니다. 기사 전문

기윤실 청년레터 기고 <마스크가 ‘교회’에 말해주는 것들>

지난 2021년 4월 3일 상임집행위원을 맡고 있는 기독교윤리실천운동이 개최한 코로나19와 한국교회 연속토론회 1차에서 발제한 내용을 정리해서 기고한 글 마스크가 ‘교회’에 말해주는 것들 신하영 교수(세명대, 기윤실 상임집행위원/청년위원) 들어가며 이번 토론회에서 코로나19와 한국교회라는 그야말로 ‘뜨거운 감자’를 다루게 되는 것에 부담을 금치 못했다. 그런데 요청해주준 발제 제목이 더욱 심상치가 않았다. “상식에 미치지 못하는 신앙, 세상의 변화를 감당하지 못하는 교회” 그렇다. “지금 한국교회 교인들은 상식에 미치지 못하는 신앙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한국교회 혹은 그 지도부는 세상의 변화를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라는 명제는 정말일까? 한국의 모든 교회들이 세상의 변화와 상식과는 엇나간 모습을 하고..

[인터뷰]휠체어 사용자 이동정보 접근성 향상 프로젝트

2020년 9월-11월동안 SK행복나눔재단의 의 사전조사 자문위원 참여, 임팩트 리포트 집필을 맡았습니다. 연구 마무리 시점에, SK행복나눔재단에서 연구 주요 결과와 의의를 소개하는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Q. 휠체어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는 무엇일까요? 무엇보다 정보의 양이 늘어야 해요. 예를 들어, 광화문 일대 음식점 수는 8,700개가 넘지만, 배리어 프리 지도에 소개된 음식점 수는 고작 10곳에 불과한데요. 1,000개의 장소 중에 1~2개를 상세히 소개하는 것보다 30~40%에 불과한 정보라도 1,000개 중 700개의 장소에 대해 접근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휠체어 사용자 역시 자신의 취향을 고려해 선택할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말이죠. Q. ‘휠체어 사용자 이동정보 접근성 향상’..

국민일보 4월 7일자 보도내용

기독교윤리실천운동 (이하 기윤실)은 4월 한 달간 매주 월요일 코로나19와 한국교회를 주제로 연속 토론회를 개최합니다. 저는 지난 4월 6일 월요일 에서 열린 1차 토론회에 발제자로 참석했습니다. 발제주제는 "상식에 미치지 못하는 신앙, 세상의 변화를 감당하지 못하는 교회"로 잡았습니다. 아래는 국민일보 보도내용 기사 전문은 여기에 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186115 중세시대 흑사병이 창궐했을 때 종교개혁자 마르틴 루터는 “꼭 가야 할 장소나 만나야 할 사람이 아니라면 피해 나와 이웃의 감염을 예방할 것”을 권면했다. 그는 자신의 무지와 태만으로 이웃이 죽임을 당하게 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신하영 세명대 교수는 지금 한국교회에 필요한 모습으로 루터가..

뉴시스 2021년 3월4일 인터뷰 내용

newsis.com/view/?id=NISX20210304_0001359708&cID=10201&pID=10200 "적극 고용개선조치 강화, 직업훈련 등 후속대책이 더 중요" [서울=뉴시스]김정현 기자 = 정부가 여성이 유독 적은 중공업·건설 등 업종의 여성 고용률을 높이기 위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AA) 제도에 절대평가 요소를 도입하기로 한 것을 www.newsis.com "...전문가들은 여성 고용이 낮은 업종의 조직 문화를 여성 친화적으로 개선하고, 경력단절 정책으로 뒷받침하는 등 후속 지원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여성고용정책 전문가인 신하영 세명대학교 교수는 "이런 업종은 뽑을 수 있는 잠재 인력이 부족하다는 게 가장 큰 문제"라며 "학교 직업훈련 단계..

대외활동

2021년 서울시 시간선택제임기제공무원 채용 면접위원 2021년 한국정보화진흥원 디지털사회혁신 공모사업 과제조정위원 2021년 여성가족부 중앙새일지원센터 직업교육훈련과정 선정 심사위원 2021년 서울특별시 여성일자리 지원기관 운영성과평가 지표개선 자문위원 2021년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키움센터 수탁기관 선정심의위원 2021년 인천여성일자리지원단(인천여성가족재단) 연구과제 심의위원 2021년 여성가족부 새일센터 직업교육훈련 과정 선정위원 2021년 디지털 사회혁신 공모사업 최종성과보고회 평가위원 2022년 고부가가치 직종 직업교육훈련 선정 심사위원 2022년 여성새로일하기센터 성과운영비 가점 관련 실적 심사위원 2022년 여성가족부 새일센터 운영성과평가지표 개선방안 자문위원 2022년 서울특별시 송파구 ..

소개_profile 2021.02.22

<리빙랩을 통한 지역사회 혁신과 여성> 이슈리포트

○ 발간물 정보 제목: 리빙랩을 통한 지역사회 혁신과 여성 발간물 번호: 제176호(20-21) 연구자: 최윤선, 신하영 발간일: 2020년 12월 18일 ○ 연구요약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지역의 살아있는 실험실'이라는 의미의 리빙랩(living-lab) 사업은 공공, 기업, 시민이 함께 협력해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사회혁신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다양한 지역 의제를 중심으로 활동해 온 여성의 참여도 주목받고 있음 현재 우리나라에서 리빙랩 사업은 지방행정 차원에서는 지역재생, 스마트시티 정책의 주요 방법론으로 받아들여지고 있고, 과학기술정책 및 과학기술연구방법론적 측면에서는 과학기술발전에 따른 국민 체감도를 높이기 위한 핵심 전략이 되고 있음 그동안 지역사회 풀뿌리 여성운동은 공공행정이나 민간시..

이공계 여성연구자 경력단절 이슈 인터뷰(한국대학신문, 2017.11.27.)

지난 2017년 11월 27일에 한국대학신문에 좌담회 형식으로 실렸던 기사를 오랜만에 예전 연구를 정리하다 발견했다. 당시에 완전히 '꽂혀' 있었던 STEM 분야 성차별, 젠더 불평등에 대해 다뤘던 서면인터뷰였다. - 지난 기획에서 남성 중심적 문화와 비정규직 등 낮은 처우를 원인으로 지적했다. 여러 요소가 복합적으로 얽혀 있다는 지적도 있었다. ▲ 신하영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연구위원. (신하영) “맞다. 여성 기간제 연구자와 대학원생의 낮은 처우는 전통적으로 여성이 하는 일을 평가 절하함으로써 여성의 일을 축소하고 일하는 여성의 지위를 낮추는 정치사회적 요소와 IMF 이후 노동 유연화와 함께 비인간적인 인건비 절감의 신자유주의적 경영 행태가 중첩돼 나타나는 현상이다. 남성 중심의 문화도 가부장제가 뿌리..

바이오해킹, 생명윤리, 그리고 젠더 - Netflix 다큐 <부자연의 선택>을 보고

(가칭)페미 책모임에서 11월에는 바이오해킹을 '제대로', 그리고 집중적으로 다루어보기로 했다. 그동안 '낙태죄' 폐지라든가, 모성과 관련해서, 출산 전후로 여성이 겪는 경력단절과 관련해서 여성의 생물학적 특징으로 인해서 어쩔수 없는 차이가 있지 않은가 등 직간접적으로 생물학, 자연 결정론과 관련한 주제로 이어지는 경험을 집단적으로 했다. 모임 멤버 중에 S님은 생명공학 쪽에 지식이 있는 분이었고, 우리와는 다른 앵글에서, 다른 맥락에서 진행되고 있는 사회의/과학기술계의 변화의 흐름을 소개해주시곤 했다. 그래서 모임의 주인장 M님은 아래와 같이 제안을! 넷플릭스에서 제공 중인 '부자연의 선택'을 보고 바이오해킹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해요. '부자연의 선택'은 다큐멘터리로 4편짜리 시리즈입니다. 각각 한 ..